(풀뿌리자치연구소 이음 내에는 ‘참여예산 기획모임’이 있습니다. 엊그제 모임이 끝나고 든 생각을 간단히 정리해봤습니다^^)
참여예산을 한 마디로 말한다면, ‘권력을 주민에게 줄 것인가’의 문제다. 행정부가 가지고 있는 예산편성의 권한을 주민에게 일부라도 주고자 하는 것이 참여예산이다. 그렇기 때문에 꼭 완결된 제도가 아니라도 괜찮다. 행정부의 의지만 있다면 어떤 형태로든 가능하다. 그러나 한국에서 진행되는 참여예산제의 모습은 어떤가? 형식으로써 제도만 있을 뿐, 내용으로써 참여는 없다. 참여마저도 형식에 그치는 경우가 태반이다.
그렇다고 제도를 우습게 보자는 것이 아니다. 제도가 있든 없든, 중요한 것은 ‘참여를 통해 무엇인가 변했다’라는 ‘참여의 경험’을 폭발시키자는 것이다. 참여예산의 도시, 브라질 뽀르뚜알레그리가 3-4년 이후부터 참여가 폭발한 것은 3-4년간의 기간이 ‘참여의 경험’을 준비하는 기간이었기 때문이다.
처음에는 사람들이 의심했을 것이다. 정말로 참여가 변화를 일으킬까? 정치인들이 늘 하는 헛된 공약 아닐까? 그러나 그들은 ‘참여하니 변하더라’라는 것을 두 눈으로 목격했다. 그러니 참여하지 않으면 손해라는 것을 느낄 수밖에 없었다. 3-4년이란 시간은 바로 그런 경험의 시간이었다. 혹자는 시행착오의 기간이라고도 한다. 그런 면에서 참여의 전제는 시행착오라는 것이 빈 말은 아니다.
그러나 브라질이 그러했다고 해서, 한국도 똑같이 폭발할 것이란 기대는 접자. 내가 보기에, 참여의 원리는 다르지 않더라도, 주민들의 관심사항, 생활 조건 등은 너무 다르다. 그래서 우리는 우리 식의 참여예산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고, 다른 방식으로 접근해야 한다.
일단, 주민을 의심하지 말자. 보수와 진보로 구분하듯이, 이쪽은 괜찮고 저쪽은 안 된다는 식의 인식과 반응, 우리가 더 잘 한다는 인식, 그래서 백성은 다 어리석다는 인식, 그리고 과연 잘 될까?라는 의구심 등은 장기적으로 해악적인 요소일 가능성이 크다. 누가 됐든 참여의 경험이 일어나는 순간, 사람들은 합리성으로 풀어갈 능력이 있다는 것을 믿고 가자.
두 번째는 많이 알려야 한다. 홈페이지에 딱 한 번 올리는 것으로 참여가 이루어질 리 만무하다. 주민들이 지겨워할 정도로 알려야 한다. 길거리 각종 게시판에, 공공시설 벽면에, 아파트 엘리베이터에, 지역 케이블 방송에, 전단지, 포스터, 현수막 등등 이런 홍보 방법이 참여예산의 성패를 좌우한다. 분명한 건, 이렇게 줄기차게 광고해도 주민의 시선을 사로잡을 가능성이 크지 않다는 것이다. 선거를 생각해보라. 공보물을 각 집마다 배달하고 포스터를 곳곳에 붙이고 밤낮으로 후보가 돌아다니며 명함을 뿌려도 사람들은 누가 누군지 잘 모른다. 그만큼 사람들 시선을 주목시키는 건 어려운 일이다. 물론, 이 문제는 행정부의 의지에 달려있긴 하다. 그러나 시민사회단체도 홍보전술을 진지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다.
세 번째, 어려서부터 경험할 수 있도록 하자. 장기적으로 보면, 비용 적게 들이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전략이라고 본다. 초등학교 고학년 때부터 일정한 예산을 아이들끼리 토론하고 합의할 수 있도록 결정권을 부여하는 것이다. 물론, 전제는 결정된 것은 반드시 지켜져야 한다. 참여하고 ==> 결정하고 ==> 반영되고 ==> 변하는 모습이 당연하다는 것을 어려서부터 익히는 것이다. 아주 작은 예산이라도 이런 경험은 생활의 상식으로 굳어질 수 있다.
네 번째, 단체장 동별순시를 활용하자. 연초가 되면 단체장을 ‘동별순시’라는 것을 한다. 단체장이 움직이니, 많은 공무원도 함께 움직인다. 지역마다 다르긴 하지만, 주민들의 요구사항이 대체로 반영되는 것으로 안다. 동별순시는 지역회의와 별반 다르지 않는 구조다. 물론, 동별순시에 참여하는 주민들은 대체로 지역 유지이거나 관변의 사람들, 혹은 몇 몇 리더들일 가능성이 크다. 이것을 참여예산과 연계하자는 것이다. 참여예산은 완전히 독립된 프로그램이 아니다. 얼마든지 반상회와 아파트부녀회, 학교운영위원회, 보육시설운영위원회, 주민자치위원들과 연계될 수 있다. 동별순시, 민원센터 등등과 통합될 수 있다. 서로 하고자 하는 의지만 있다면 말이다.
그 외에도 여러 가지 아이디어가 있을 것이다. 행정부에 전담부서를 배치한다면, 확실성을 담보할 수 있을 것이다. 잘 운영할 경우, 인사고과에 반영하기도 하고 인센티브를 줄 수도 있다. 이도저도 아니면, 단순하게 각 동마다 일정한 예산(약 2억-3억 정도)을 내려주고 주민들이 알아서 쓰라고 하면 된다. 생각보다 잘 해나갈 수 있을 것이다. 이런 경험들이 쌓이고 변화를 목격하는 순간, 뽀르뚜알레그리가 부럽지 않은 날도 올 수 있지 않을까?
'풀내음 팀블로그 > 김현의 "잡동사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처럼 사무실이 화사해졌습니다^^ (4) | 2010.03.09 |
---|---|
이음에서 책을 냈습니다 - "모이고 떠들고 꿈꾸다" (5) | 2010.02.24 |
'부동산 계급투표'가 현실이군요-_- (0) | 2010.01.09 |
이해하기 쉬운 쇼설미디어 영상 (0) | 2010.01.07 |
새해 첫 출근, 순백의 세상^^ (0) | 2010.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