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일보에 칼럼으로 쓴 글입니다.
시간이 흐를수록 이 정권의 미래가 불투명한 듯합니다. 아니 더 분명해진다고 할까요.
옛날에 불렀던 '잠들지 않는 남도'라는 노래를 떠올리며 쓴 글입니다.
-----------------------------------
한국의 현대사에 여러 비극이 있었지만 제주도 4·3만한 비극은 없다.
1947년 3월1일 경찰이 기념행사를 치르던 주민에게 발포해 6명이 사망하면서 비극은 시작되었다. 그 뒤 1년 동안 2천500여명의 주민이 감금되거나 고문을 당했고, 48년 4월3일 무장대가 경찰지서와 우익단체를 공격했다. 1954년 한라산 금족지역이 개방될 때까지 7여년 동안, 4·3사건 위원회 보고서에 따르면 제주도민의 약 10%인 2만5천명에서 3만명이 희생당했다(그 중 86.1%가 군대나 경찰에 의해 목숨을 잃었다 한다). 남녀노소 가리지 않고 저질러진 이 학살은 제주도민의 가슴에 깊은 상처를 남겼다. 한 증언자는 누이를 산에 묻고 돌아오니 온가족이 죽어있더라며 말을 이어가지 못했다.
2003년 10월 노무현 정부는 4·3에 대해 공식적으로 과거 권력의 잘못을 사과하며 상처를 달래는 듯했다.
하지만 이명박 정부가 들어서자 국방부는 교과서에서 4·3을 "남로당의 폭동지시에 의해 발생한 좌익세력의 반란"이라 규정할 것을 요구하고, 심지어 소설가 현기영의 '지상의 숟가락 하나'라는 작품을 '불온서적'으로 규정했다.
최근 벌어지는 많은 다른 일들처럼 역사의 시곗바늘도 거꾸로 돌아가고 있는 셈이다. 아니, 정확하게 말하면 역사는 더 이상 역사이기를 포기하고 바늘을 멈춘 채 권력을 가진 자들의 노리개가 되고 있다.
역사만 노리갯감이 되는 건 아니다. 제주도민들의 삶은 또다시 육지를 지배하는 사람들의 노리개가 되고 있다. 2007년 국방부는 제주도 강정마을에 주민들의 반대를 무릅쓰고 대규모 해군기지를 건설하겠다는 계획을 밝혔고 그 계획을 은밀히 추진하고 있다.
얼마 전 강정마을을 다녀올 기회가 있었다. 서귀포에서 제주도 올레길을 따라 걸으며 찾아간 그곳은 아름답고 고즈넉한 포구였다. 해군기지추진단이라 이름붙인 컨테이너 박스만 없다면 아주 평화로울 곳이었다.
그런 곳에, 소위 세계평화의 섬이라 불리는 제주도에 해군기지를 만들겠다는 해괴한 발상은 누구의 머리에서 나왔을까? 주민들의 반대를 줄이기 위해 사용하는 '민군복합형 관광미항'이라는 해괴한 말은 핵을 사용하지 않는 대규모 재래식 폭탄을 뜻하는 '친환경 폭탄'처럼 기괴한 우리 현실을 드러낼 뿐이다. 하지만 더 이상 아름다움과 더러움을 뒤섞어 우리의 판단을 흐리게 하는 그런 말들이 우리를 속일 수는 없다.
일제 식민지 시기에는 일본 본토 상륙을 막는 최후의 전쟁기지로 사용되었고, 해방 이후에는 미군정과 육지에서 건너온 우익단체의 발에 짓밟혔던 제주도는 지금 시험대에 서 있다. 한반도 최남단에 만들어지는 해군기지가 우리의 목적을 위해 사용되리라 생각하는 무뇌아들은 그리 많지 않다. 해군기지의 건설은 외부의 정치상황, 정확히는 동북아나 국제정세가 또 다시 제주도민과 한반도 주민의 삶과 생명을 좌우하리라는 것을 뜻한다.
물론 평택에서 그랬듯이 정부는 어떤 방법을 쓰더라도 자신의 의지를 관철하려 할 것이다. 그리고 어느 것에도 호소할 길 없는 힘없는 주민들은 또다시 돈 몇 푼 쥐어든 채 쫓겨날 가능성이 크다. 하지만 언제나 모든 사건이 그렇게 끝날까? 그 무엇도 자신들을 돕거나 보호할 수 없다는 것을 깨달은 사람들이 언제나 순순히 물러나기만 할까?
최근 어느 정치인은 무더기 법안통과를 시도하며 '전쟁'이라는 표현을 썼다. 그에게는 이 표현이 하나의 정치적 수사에 지나지 않았을 수 있다.
하지만 그동안 끔찍한 고통에 시달려온 사람들에게 그 표현은 단지 수사가 아니라 순간적으로 드러난 일그러진 현실의 진실인 셈이다. 정치가 극단으로 치달을수록 비극은 우리 앞으로 성큼 다가선다.
방치된 세상은 흘러가지 않고 오히려 그 끝으로 향한다. 그래서 우리는 호소할 곳 없는 사람들의 호소에 귀를 기울여야 하고 전쟁을 막을 정치에 관심을 쏟아야 한다. 잠들지 못하는 남도는 우리의 미래이다.
시간이 흐를수록 이 정권의 미래가 불투명한 듯합니다. 아니 더 분명해진다고 할까요.
옛날에 불렀던 '잠들지 않는 남도'라는 노래를 떠올리며 쓴 글입니다.
-----------------------------------
한국의 현대사에 여러 비극이 있었지만 제주도 4·3만한 비극은 없다.
1947년 3월1일 경찰이 기념행사를 치르던 주민에게 발포해 6명이 사망하면서 비극은 시작되었다. 그 뒤 1년 동안 2천500여명의 주민이 감금되거나 고문을 당했고, 48년 4월3일 무장대가 경찰지서와 우익단체를 공격했다. 1954년 한라산 금족지역이 개방될 때까지 7여년 동안, 4·3사건 위원회 보고서에 따르면 제주도민의 약 10%인 2만5천명에서 3만명이 희생당했다(그 중 86.1%가 군대나 경찰에 의해 목숨을 잃었다 한다). 남녀노소 가리지 않고 저질러진 이 학살은 제주도민의 가슴에 깊은 상처를 남겼다. 한 증언자는 누이를 산에 묻고 돌아오니 온가족이 죽어있더라며 말을 이어가지 못했다.
2003년 10월 노무현 정부는 4·3에 대해 공식적으로 과거 권력의 잘못을 사과하며 상처를 달래는 듯했다.
하지만 이명박 정부가 들어서자 국방부는 교과서에서 4·3을 "남로당의 폭동지시에 의해 발생한 좌익세력의 반란"이라 규정할 것을 요구하고, 심지어 소설가 현기영의 '지상의 숟가락 하나'라는 작품을 '불온서적'으로 규정했다.
최근 벌어지는 많은 다른 일들처럼 역사의 시곗바늘도 거꾸로 돌아가고 있는 셈이다. 아니, 정확하게 말하면 역사는 더 이상 역사이기를 포기하고 바늘을 멈춘 채 권력을 가진 자들의 노리개가 되고 있다.
역사만 노리갯감이 되는 건 아니다. 제주도민들의 삶은 또다시 육지를 지배하는 사람들의 노리개가 되고 있다. 2007년 국방부는 제주도 강정마을에 주민들의 반대를 무릅쓰고 대규모 해군기지를 건설하겠다는 계획을 밝혔고 그 계획을 은밀히 추진하고 있다.
얼마 전 강정마을을 다녀올 기회가 있었다. 서귀포에서 제주도 올레길을 따라 걸으며 찾아간 그곳은 아름답고 고즈넉한 포구였다. 해군기지추진단이라 이름붙인 컨테이너 박스만 없다면 아주 평화로울 곳이었다.
그런 곳에, 소위 세계평화의 섬이라 불리는 제주도에 해군기지를 만들겠다는 해괴한 발상은 누구의 머리에서 나왔을까? 주민들의 반대를 줄이기 위해 사용하는 '민군복합형 관광미항'이라는 해괴한 말은 핵을 사용하지 않는 대규모 재래식 폭탄을 뜻하는 '친환경 폭탄'처럼 기괴한 우리 현실을 드러낼 뿐이다. 하지만 더 이상 아름다움과 더러움을 뒤섞어 우리의 판단을 흐리게 하는 그런 말들이 우리를 속일 수는 없다.
일제 식민지 시기에는 일본 본토 상륙을 막는 최후의 전쟁기지로 사용되었고, 해방 이후에는 미군정과 육지에서 건너온 우익단체의 발에 짓밟혔던 제주도는 지금 시험대에 서 있다. 한반도 최남단에 만들어지는 해군기지가 우리의 목적을 위해 사용되리라 생각하는 무뇌아들은 그리 많지 않다. 해군기지의 건설은 외부의 정치상황, 정확히는 동북아나 국제정세가 또 다시 제주도민과 한반도 주민의 삶과 생명을 좌우하리라는 것을 뜻한다.
물론 평택에서 그랬듯이 정부는 어떤 방법을 쓰더라도 자신의 의지를 관철하려 할 것이다. 그리고 어느 것에도 호소할 길 없는 힘없는 주민들은 또다시 돈 몇 푼 쥐어든 채 쫓겨날 가능성이 크다. 하지만 언제나 모든 사건이 그렇게 끝날까? 그 무엇도 자신들을 돕거나 보호할 수 없다는 것을 깨달은 사람들이 언제나 순순히 물러나기만 할까?
최근 어느 정치인은 무더기 법안통과를 시도하며 '전쟁'이라는 표현을 썼다. 그에게는 이 표현이 하나의 정치적 수사에 지나지 않았을 수 있다.
하지만 그동안 끔찍한 고통에 시달려온 사람들에게 그 표현은 단지 수사가 아니라 순간적으로 드러난 일그러진 현실의 진실인 셈이다. 정치가 극단으로 치달을수록 비극은 우리 앞으로 성큼 다가선다.
방치된 세상은 흘러가지 않고 오히려 그 끝으로 향한다. 그래서 우리는 호소할 곳 없는 사람들의 호소에 귀를 기울여야 하고 전쟁을 막을 정치에 관심을 쏟아야 한다. 잠들지 못하는 남도는 우리의 미래이다.
'풀내음 팀블로그 > 하승우의 "일상과 자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보적 지방자치와 생활정치 (2) | 2009.02.13 |
---|---|
무너지는 법치주의(경인일보) (0) | 2009.01.23 |
명바기네이터와 생태계 멸망의 날 (0) | 2008.12.05 |
앞산꼭지들과 손을 잡자(인권오름) (4) | 2008.11.19 |
생존경쟁과 묻지마 살인(경인일보) (1) | 2008.10.31 |